소화생리 소장액, 췌장액, 담즙, 대장의 기능
1. 소장액과 담즙의 기능과 특징 소장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으로 구분되고, 소장의 점막과 점막하층은 윤상주름을 형성하며 이 윤상주름에는 많은 융모가 있습니다. 융모는 십이지장에 많이 분포하고, 내강 표면에서 소장의 내강으로 연결되며 손가락 모양으로 돌출되어 있습니다. 소장에서 소화가 완료되어 탄수화물은 단당류로, 지방은 지방산과 모노글리 세 라이드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흡수됩니다. 소장에서의 소화는 소장점막의 장선에서 분비되는 장액과 부속선인 췌장과 간에서 분비되는 췌장액 및 담즙에 의하여 이루어집니다. 소장액은 소장의 장선에서 분비되는 점액이 풍부한 무색의 알칼리성 소화액입니다. 장액에 포함된 효소들은 장점막의 상피세포에서 그 기능을 하며, 장액은 소화 산물을 희석시켜서 효과적으로 흡수..
2023. 12. 5.
소화생리 구강과 위에서의 소화액 분비 안내
1. 구강에서의 소화액 분비 구강에서 분비되는 타액은 소화효소, 중탄산염, 점액 등으로 구성된 액체이며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에서 분비됩니다. 이하선은 장액선으로, 타액선 중 가장 크며 소화효소인 프티알린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묽은 타액을 분비합니다. 악하선과 설하선은 혼합선으로, 점액이 함유된 타액을 분비합니다. 타액에는 전분을 소화하는 아밀라아제(프티알린)가 있는데, 이는 전분을 맥아당으로 가수분해합니다. 타액은 음식물을 적셔서 부드럽게 하여 삼키기 쉽게 만들며, 음식물을 용해시켜 미뢰를 자극함으로써 맛을 느끼게 합니다. 또한 구강 내를 촉촉하게 유지시켜 말하는 데 도움을 주고, 항상 입안을 청결하게 씻어 주며 항균작용을 합니다. 이외에도 점액다당, 당단백, 각종 단백질과 분비항체인 면역글로불린이 ..
2023. 12. 4.
소화생리 소화기계의 구조, 위장관 기능의 조절
1. 소화기계의 구조 인체는 생명을 유지해 나가기 위한 에너지원을 음식물의 형태로 체외로부터 섭취해야 하며, 섭취한 음식물은 체내에서 소화·흡수 과정을 거쳐 에너지로 전환합니다. 소화란 소장 내에서 용해되거나 작은 분자로 분해되는 과정을 말하며, 소화 과정은 소화관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작용인 화학적 작용과, 저작이나 소화관의 운동과 같은 기계적 작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흡수는 위장관에서 소화작으로 생성된 분자들이 소장의 상피세포를 가로질러 혈액이나 림프로 들어가는 과정을 말합니다. 소화관은 구강에서부터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을 거쳐 항문까지 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유의 소화관 이외에 부속기관으로 타액선, 간, 담낭, 췌장 등이 소화관과 관을 통해 연결되어 소화액을 공급합니다...
2023.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