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

호흡생리 폐의 용적과 용량, 기체 교환과 운반 1. 폐의 용적과 용량 폐용적과 폐용량은 호흡 중 폐에 출입하는 공기의 양을 부피로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폐용적과 폐용량은 연령, 성별, 신체 상태에 따라 차이가 나며 폐활량계로 측정하여 조건에 따라 공기량을 4개의 용적과 4개의 용량으로 구분합니다. 폐용적은 일호흡용적, 습속성 예비용적, 호식성 예비용적, 잔기용적으로 구분합니다. 일호흡용적은 안정 시의 매 호흡주기, 즉 1회의 습속이나 호식으로 폐 내에 출입하는 기체량으로 정상 성인남자는 약 500mL 정도입니다. 이 중 350mL 정도는 폐포로 들어가 기체 교환을 하고, 약 150mL는 기도에 머뭅니다. 습속성 예비용적은 안정 시에 1회 호흡량을 흡입한 후 최대로 더 흡입할 수 있는 기체량으로, 정상 성인남자는 약 3,000mL입니다. 호식성 예비용.. 2023. 12. 14.
호흡기 구조와 기능, 호흡 과정과 호흡운동 1.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생명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음식의 소화와 흡수 과정을 통해 얻은 영양소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를 이용합니다. 이러한 에너지 유리반응을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야 하며, 그 결과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방출해야만 합니다. 이와 같이 생명체가 외부로부터 계속 산소를 얻고 체내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체의 교환 과정을 '호흡'이라고 합니다. 호흡은 외호흡과 내호흡으로 나뉘며, 이는 호흡기계를 통해 기체의 교환이 일어납니다. 호흡기계는 기체를 교환하는 폐와 체외에서 공기 도입의 통로가 되는 비강, 인두, 후두, 기관지 등의 호흡기도로 구성됩니다. 사람의 호흡기는 체외에서 폐포까지 외부 공기를 받아들이는 통로가 되는 기도와 기체 교환이 이.. 2023. 12. 13.
체액 삼투농도 조절과 산성도 조절 과정 안내 1. 체액의 삼투농도 조절 정상인의 체액 삼투농도는 300 mOsm/L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것은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의 배설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가능합니다. 하루에 약 180L의 액체가 사구체를 통해 여과되지만 대부분의 수분은 세뇨관과 집합관에서 재흡수되고 1.5L 정도만이 요를 통해 배설됩니다. 일반적으로 세뇨관과 집합관에서의 수분 재흡수는 나트륨과 염소의 이동에 따라 형성된 삼투농도 차이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물을 너무 많이 마셔서 체액의 삼투농도가 낮아지거나 땀을 많이 흘려 심한 탈수로 인해 삼투농도가 증가된 경우 등에는 나트륨과 염소의 이동과는 별도로 신장과 내분비기관이 밀접한 상호작용에 의해 수분을 선택적으로 재흡수함으로써 체액의 삼투농도를 정상화시킬 수 있습니다... 2023. 12. 12.
나트륨 섭취에 따른 나트륨 변화의 조절, 인공투석 1. 섭취에 따른 체내 나트륨 보유량 변화 시의 조절 과정 체내 나트륨 보유량에 따른 나트륨 배설은 매우 정밀하게 조절되기 때문에, 식사를 통해 섭취하는 나트륨 양의 변동 폭이 큼에도 체내 나트륨 보유량과 수분 함량이 정상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고 순환 혈액량도 유지될 수 있습니다. 나트륨 배설량은 사구체여과율 및 세뇨관과 집합관에서의 나트륨이온 재흡수율의 변화를 통해 조절이 가능합니다. 과도한 나트륨 섭취로 인하여 체내 나트륨 보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나트륨이온 재흡수의 감소와 동시에 사구체여과율이 증가함으로써 나트륨 배설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생리 환경에서 체내 나트륨 보유량 변화에 따른 사구체여과율의 변화 정도는 미미하기 때문에, 실제로는 나트륨이온 재흡수율의 변화가 나트륨 보유.. 2023.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