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

인체생리학 항상성의 정의, 항상성 유지 안내 1. 항상성의 정의 인간은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나 이러한 환경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이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인간은 외부 환경이 변하더라도 내부 환경은 정상 범위 내에서 그 기능을 유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항상성이라 합니다. 항상성은 그리스어로 '같은 또는 유사한'의 뜻을 지닌'homeo'와 '정지하다'의 뜻을 지닌 'stasis'가 합성된 단어로, '동일하게 유지한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이때 체내 환경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변화가 전혀 없다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변화를 계속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변화하면서 내부 환경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항상성은 지속적이고 현재 진행형의 의미를 지니며, 캐논은 .. 2023. 12. 18.
인체생리학 정의와 이상 증상, 인체의 구성 1. 인체생리학의 정의, 질병과 노화와 영양 결핍 시 저체온 유발, 이상 증상 생명과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인체를 구성하는 여러 구조의 기능을 연구하는 생리학은 반드시 학습해야 할 필수학문입니다. 우리는 생리학이라는 학문을 통해 인체의 각 기관들이 계속 변화하는 외부 환경에 대해 얼마나 적절히 적응해 나아가는가를 깨닫게 될 것입니다. 생명체를 다루는 학문에서, 16세기 중반까지는 주로 생명체의 형태를 연구하였으나, 서서히 기능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면서 생리학이라는 동적인 학문이 시작되었습니다. 생리학은 자연을 의미하는 라틴어 'physis'와 학문이라는 뜻의 'logia'가 합성된 단어입니다. 인체생리학이란 인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생명현상을 세포·조직·기관·기관계 또는 개체 수준에서 물리적·화학적·생화학.. 2023. 12. 17.
생식생리 임신과 분만, 수유, 폐경의 특징 안내 1. 임신 임신은 수정된 난자가 세포분열을 통해 태아로 발달되는 과정으로, 마지막 월경 시작일로부터 약 40주간 지속됩니다. 임신 초기에는 황체에서 스테로이드호르몬이 공급되고, 중기와 후기에는 태반에서 공급됩니다. 임신기간 중에 꾸준히 증가되는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새로운 여포 형성을 억제하면서 자궁내막을 유지시켜 임신 과정이 지속되도록 하고, 분만 후 수유가 가능하도록 유방을 발달시켜 줍니다. 수정은 배란 후 약 24시간 내에 난소와 인접한 난관 말단 부위에서 일어납니다. 정자가 난모세포에 일단 침투하면 수정란이 형성되고 세포분열이 시작됩니다. 배간 후 4일이 지나면 수정란은 100여 개의 세포로 분열된 포배로 발달하여 자궁강에 도달합니다. 자궁강에 24시간가량 머물던 포배는 배란 후 5일째쯤 자.. 2023. 12. 16.
생식생리 남성 생식생리, 여성 생식생리 특징 1. 성분화와 생식선 조절 및 남성 생식생리 생식선은 호르몬을 분비하여 생식세포를 성숙, 발달시키는 기능을 담당합니다. 즉, 남성의 고환에서는 정자를 생성하고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며, 여성의 난소에서는 난자를 생성하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합니다. 성분화 과정은 생식선의 발달, 생식기관의 발달 과정을 포함합니다. 남녀 각각의 성은 다음의 세 가지 특징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유전적 성은 성염색체에 의해 결정되며 남자는 XY, 여자는 XX를 가집니다. 유전적 성이 남성인 경우 임신 6~7주에 고환이 발달하기 시작하고, 여성의 경우 임신 9주에 난소 발달이 시작됩니다. 남성 또는 여성으로 표현되는 성 발달 단계로 남녀의 내부 생식기관과 외부 생식기관의 발달이 이루어집니다. 사.. 2023. 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