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4

순환계 구조와 맥관계의 기능, 동맥계와 정맥계 1. 순환계의 구조와 맥관계의 기능 순환계는 심장, 혈액, 혈관, 림프계로 이루어집니다. 혈관은 대동맥, 동맥,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 정맥, 대정맥 등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심장에서 조직으로, 또 조직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혈액의 흐름은 크게 체순환계(또는 대순환계)와 폐순환계(또는 소순환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장으로부터 나온 정맥혈은 폐순환계를 거치는 동안 이산화탄소를 폐포에 내어 주고 폐포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임으로써 동맥혈로 전환되고, 체순환을 거치는 동안에는 폐로부터 받아온 산소를 각 조직에 내어주고 조직에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임으로써 다시 정맥혈로 전환됩니다. 체순환계는 좌심실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큰 동맥인 대동맥으로 뻗어 나와 여러 갈래의 동맥.. 2023. 11. 27.
심근 심근세포의 구조, 심근의 수축에 관한 특징 1. 심근세포의 구조 및 근육디스트로피와 루게릭병의 의미 심근은 골격근과 민무늬근의 성질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심근은 외관상 횡문을 갖고 있지만 몇 가지 면에서 골격근과 다른 특징을 나타냅니다. 심근세포에는 골격근섬유와 마찬가지로 굵은 필라멘트와 가는 필라멘트로 구성된 근섬유분절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횡문을 나타냅니다. 심근의 가는 필라멘트에도 트로포닌과 트로포미오신이 존재하며 그들의 기능 또한 골격근에서와 같습니다. 횡단세관과 근세포질세망을 갖고 있는 것도 골격근과의 공통점입니다. 그러나 이들 소기관에서 칼슘을 방출하는 메커니즘은 골격근과 다릅니다. 한편, 여러 종류의 근섬유가 섞인 골격근과 달리 심근세포는 균일합니다. 심근은 오직 한 가지의 근세포를 갖고 있는데, 모세혈관이 잘 발달되어 있.. 2023. 11. 26.
민무늬근 구조와 수축, 민무늬근 수축의 조절 안내 1. 민무늬근의 구조 민무늬근세포는 형태 면에서 골격근섬유와 큰 차이를 보입니다. 민무늬근세포는 크기가 작고 마름모꼴인 데 비해 골격근섬유는 직경이 10~100㎛에 달하고 길이 또한 매우 깁니다. 골격근섬유는 길게 뻗어 있어서 일부 세포는 근육 전체 길이만큼이나 긴 데 반해, 민무늬근세포는 서로 연결되어 시트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한편 골격근섬유는 다핵세포이므로 일단 분화가 끝나면 더는 분열하지 못하는 데 반해 민무늬근세포는 단핵이고 일생에 걸쳐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근육조직이 손상을 받으면 여러 종류의 주변분비물질이 분비되어 민무늬근세포의 분열을 촉진합니다. 민무늬근세포 역시 굵은 미오신 필라멘트와 가는 액틴 필라멘트를 갖고 있는데 골격근섬유와의 차이점은 민무늬근의 가는 필라멘트에는 조.. 2023. 11. 25.
근육 수축의 종류와 힘의 세기, 다리에 난 경련 치료 1. 근육 수축의 종류와 특징 근육의 수축은 동심수축, 등척수축, 편심수축의 3가지 종류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걷기, 높이뛰기 등 대부분의 신체활동에서 근육의 협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3종류의 수축이 모두 필요합니다. 근육의 기본적인 작용인 동심수축은 근육이 장력을 발생하면서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어떤 물건을 들 때 물건의 하중보다 근육이 발생시키는 장력이 더 클 때에는 동심수축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가벼운 아령을 들 때 상완 이두근의 수축은 동심수축에 해당합니다. 동심수축에서는 2종류의 필라멘트 사이에 연결다리가 형성된 후 가는 필라멘트가 근섬유분절의 중심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집니다. 이 경우 근육에 연결된 관절이 움직이기 때문에 동심수축은 동적 수축에 해당합니다. 간혹 근육이 장력은 .. 2023. 11. 24.